정기점검은 쾌적하고 안전한 주행을 보장합니다.
정기점검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소중한 건강 관리입니다. 안심하고 타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 정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정기점검을 통해 주행과 시간경과에 따른 차량의 상태를 조기에 점검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고장이나 중정비를 예방하여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고 금전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정기 점검은 아래와 같이 1개월 점검 이후 1년 단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 집니다. |
![]() 유상점검 안내
|
정기 점검은 아래와 같이 1개월 점검 이후 1년 단위로 지속적으로 이루어 집니다. |
![]() 유상점검 안내
|
쾌적하고 안전한 모터사이클의 사용을 위하여 정기적인 점검,장비를 받을 것을 권장드립니다.
쾌적하고 안전한 모터사이클의 사용을 위하여 정기적인 점검,장비를 받을 것을 권장드립니다.
당사 신차 구입고객에게는 2회 또는 4회의 무료 정기점검과 엔진오일, 오일필터(일부차종)를 교환해 드립니다.
혼다코리아의 정기점검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사용을 전제로 정해진 점검항목과 혼다코리아에서 지정한 항목에 대하여 점검합니다.
혼다 코리아에서 모터사이클을 구매하신 고객님께는 아래와 같은 정비노트를 제공해 드립니다. 이 정비노트에는 정비점검방법을 포함하여 고객님의 모터사이클 관리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
![]()
|
혼다 코리아에서 모터사이클을 구매하신 고객님께는 아래와 같은 정비노트를 제공해 드립니다. 이 정비노트에는 정비점검방법을 포함하여 고객님의 모터사이클 관리에 관한 사항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
![]()
|
대기환경보전법 제 62조제2항에 따라 2014년 4월 7일부터 260cc초과 모터사이클 대상으로 정기검사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혼다코리아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검사준비를 하실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정기검사 전 점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5,000원)
![]() |
![]() |
모터사이클의 쾌적하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차량 전반의 상태를 점검하는 [혼다 정기점검]과 이륜차 정기검사 준비를 위한 [정기검사 전 점검]을 패키지로 함께 받으실 경우에는 할인된 금액으로 점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5,000원, 정가대비 약 24%할인) |
![]()
|
모터사이클의 쾌적하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차량 전반의 상태를 점검하는 [혼다 정기점검]과 이륜차 정기검사 준비를 위한 [정기검사 전 점검]을 패키지로 함께 받으실 경우에는 할인된 금액으로 점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45,000원, 정가대비 약 24%할인) |
![]() ![]()
|
모터사이클은 사용자 및 환경에 따라 상태가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매일, 또는 가끔 사용하더라도 일상적인 안전 점검은 꼭 필요합니다.
주행 전, 급유나 세차 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해 주십시오.
※ 주의하세요!
|
일상 점검은 모터사이클의 사용에 있어 정기점검과 함께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관리, 운행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정기점검이 주행거리 및 운행 시간에 대한 각 구성품의 상태 판단을 목적으로 한다면 일상점검은 운행시의 조작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일상 점검 항목들을 숙지하고 점검한다면 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의하세요!
|
일상 점검은 모터사이클의 사용에 있어 정기점검과 함께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관리, 운행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사항입니다. 정기점검이 주행거리 및 운행 시간에 대한 각 구성품의 상태 판단을 목적으로 한다면 일상점검은 운행시의 조작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일상 점검 항목들을 숙지하고 점검한다면 보다 안전하고 즐거운 라이딩을 할 수 있습니다. |
![]()
01.
브레이크 및 클러치 레버와 페달의 유격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을 손에 저항이 느껴질때까지 잡아 당기거나 레버 끝부분의 유격이 규정 범위에 있는지 확인합니다.유압식 브레이크에서 레버 또는 페달의 작동이 푹신하게 느껴질 때는 공기가 들어갔을 우려가 있으므로 관련 서비스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
![]()
02.
전, 후륜 브레이크 액의 양 지면이 평탄한 곳에서 차체를 수직으로 하거나 핸들을 움직여 리저브 탱크 캡 윗면이 수평이 되도록 한 후 브레이크 액면이 레벨 라인에 평행이 되도록 합니다.또한 브레이크 리저브 탱크 안의 유량이 하한(LOWER) 레벨 위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브레이크 액의 감소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및 라인의 누출을 점검 할 수 있습니다. |
![]()
03.
엔진 오일양 평탄한 곳에서 엔진을 3~5분간 공회전 시킨 후, 엔진을 정지합니다.약 10여 분 후 엔진 오일을 점검 창 또는 레벨 게이지를 이용하여 규정범위 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 사이)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
![]()
04.
동화 장치 및 방향 지시등 메인 스위치를 켜고 전조등(헤드라이트), 후미등(테일 램프), 제동등(스톱 램프) 등의 등화 장치가 점등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방향 지시등을 작동하여 전,후 모두 정상 작동(점멸 상태) 되는지 점검합니다. |
![]()
05.
타이어 공기압, 균열, 손상, 이상마모, 트레드 높이 주행 시 유일하게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의 점검은 반드시 실시하여야 할 항목입니다.타이어 접지부의 굴곡상태를 보아 공기압이 부족하지 않은지 점검합니다. 또한 타이어 전체 둘레에 현저한 균열, 이상마모 및 과도한 마모에 의한 트레드 깊이(슬립 사인)를 점검합니다. |
![]()
06.
냉각수 양 평탄한 곳에 차량을 세우고 냉각수 리저버 탱크의 냉각수양이 규정 범위 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규정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합니다.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면 냉각수의 노출 여부를 점검하도록 합니다. |
![]()
07.
엔진 시동상태, 이음, 배터리액 양 점검 셀 스타터를 이용한 시동 시 시동성이 원활한지, 이상 소음 발생 여부와 함께 배터리 각각의 전해액 양이 규정 범위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
![]()
08.
저속 및 가속 상태 모터사이클 운행시에는 일단 저속상태로 주행하며 평소 주행시의 이상 여부를 점검합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가속하여 부드러운 가속상태 및 이상 소음 발생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
![]()
09.
체인의 느슨함 및 팽팽함(Tension) 전, 후 스프로킷 사이의 중앙 부분을 손으로 위, 아래로 움직여 체인의 인장 상태를 점검합니다. 체인은 일정한 자유 유격의 유지와 함께 지속적인 윤활이 필요합니다. 체인의 윤활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경우에 따라 윤활하여 주십시오. |
![]()
10.
운행에 있어 이상이 느껴지는 부분 모터사이클은 매우 많은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필요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습니다. 운행에 있어 평소와 다른 이상이 느껴진다면 반드시 운행을 멈추고 각 구성품의 이상 여부를 유관 점검합니다. 이 때 충분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01.
브레이크 및 클러치 레버와 페달의 유격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을 손에 저항이 느껴질때까지 잡아 당기거나 레버 끝부분의 유격이 규정 범위에 있는지 확인합니다.유압식 브레이크에서 레버 또는 페달의 작동이 푹신하게 느껴질 때는 공기가 들어갔을 우려가 있으므로 관련 서비스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
![]()
02.
전, 후륜 브레이크 액의 양 지면이 평탄한 곳에서 차체를 수직으로 하거나 핸들을 움직여 리저브 탱크 캡 윗면이 수평이 되도록 한 후 브레이크 액면이 레벨 라인에 평행이 되도록 합니다.또한 브레이크 리저브 탱크 안의 유량이 하한(LOWER) 레벨 위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브레이크 액의 감소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및 라인의 누출을 점검 할 수 있습니다. |
![]()
03.
엔진 오일양 평탄한 곳에서 엔진을 3~5분간 공회전 시킨 후, 엔진을 정지합니다.약 10여 분 후 엔진 오일을 점검 창 또는 레벨 게이지를 이용하여 규정범위 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 사이)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
![]()
04.
동화 장치 및 방향 지시등 메인 스위치를 켜고 전조등(헤드라이트), 후미등(테일 램프), 제동등(스톱 램프) 등의 등화 장치가 점등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방향 지시등을 작동하여 전,후 모두 정상 작동(점멸 상태) 되는지 점검합니다. |
![]()
05.
타이어 공기압, 균열, 손상, 이상마모, 트레드 높이 주행 시 유일하게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의 점검은 반드시 실시하여야 할 항목입니다.타이어 접지부의 굴곡상태를 보아 공기압이 부족하지 않은지 점검합니다. 또한 타이어 전체 둘레에 현저한 균열, 이상마모 및 과도한 마모에 의한 트레드 깊이(슬립 사인)를 점검합니다. |
![]()
06.
냉각수 양 평탄한 곳에 차량을 세우고 냉각수 리저버 탱크의 냉각수양이 규정 범위 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규정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합니다.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면 냉각수의 노출 여부를 점검하도록 합니다. |
![]()
07.
엔진 시동상태, 이음, 배터리액 양 점검 셀 스타터를 이용한 시동 시 시동성이 원활한지, 이상 소음 발생 여부와 함께 배터리 각각의 전해액 양이 규정 범위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
![]()
08.
저속 및 가속 상태 모터사이클 운행시에는 일단 저속상태로 주행하며 평소 주행시의 이상 여부를 점검합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가속하여 부드러운 가속상태 및 이상 소음 발생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
![]()
09.
체인의 느슨함 및 팽팽함(Tension) 전, 후 스프로킷 사이의 중앙 부분을 손으로 위, 아래로 움직여 체인의 인장 상태를 점검합니다. 체인은 일정한 자유 유격의 유지와 함께 지속적인 윤활이 필요합니다. 체인의 윤활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경우에 따라 윤활하여 주십시오. |
![]()
10.
운행에 있어 이상이 느껴지는 부분 모터사이클은 매우 많은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필요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습니다. 운행에 있어 평소와 다른 이상이 느껴진다면 반드시 운행을 멈추고 각 구성품의 이상 여부를 유관 점검합니다. 이 때 충분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01.
브레이크 및 클러치 레버와 페달의 유격 브레이크 레버 또는 페달을 손에 저항이 느껴질때까지 잡아 당기거나 레버 끝부분의 유격이 규정 범위에 있는지 확인합니다.유압식 브레이크에서 레버 또는 페달의 작동이 푹신하게 느껴질 때는 공기가 들어갔을 우려가 있으므로 관련 서비스를 받을 것을 권장합니다. |
![]()
02.
전, 후륜 브레이크 액의 양 지면이 평탄한 곳에서 차체를 수직으로 하거나 핸들을 움직여 리저브 탱크 캡 윗면이 수평이 되도록 한 후 브레이크 액면이 레벨 라인에 평행이 되도록 합니다.또한 브레이크 리저브 탱크 안의 유량이 하한(LOWER) 레벨 위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브레이크 액의 감소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및 라인의 누출을 점검 할 수 있습니다. |
![]()
03.
엔진 오일양 평탄한 곳에서 엔진을 3~5분간 공회전 시킨 후, 엔진을 정지합니다.약 10여 분 후 엔진 오일을 점검 창 또는 레벨 게이지를 이용하여 규정범위 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 사이)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
![]()
04.
동화 장치 및 방향 지시등 메인 스위치를 켜고 전조등(헤드라이트), 후미등(테일 램프), 제동등(스톱 램프) 등의 등화 장치가 점등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방향 지시등을 작동하여 전,후 모두 정상 작동(점멸 상태) 되는지 점검합니다. |
![]()
05.
타이어 공기압, 균열, 손상, 이상마모, 트레드 높이 주행 시 유일하게 지면과 접촉하는 타이어의 점검은 반드시 실시하여야 할 항목입니다.타이어 접지부의 굴곡상태를 보아 공기압이 부족하지 않은지 점검합니다. 또한 타이어 전체 둘레에 현저한 균열, 이상마모 및 과도한 마모에 의한 트레드 깊이(슬립 사인)를 점검합니다. |
![]()
06.
냉각수 양 평탄한 곳에 차량을 세우고 냉각수 리저버 탱크의 냉각수양이 규정 범위 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규정 범위 내에 있지 않을 경우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합니다.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면 냉각수의 노출 여부를 점검하도록 합니다. |
![]()
07.
엔진 시동상태, 이음, 배터리액 양 점검 셀 스타터를 이용한 시동 시 시동성이 원활한지, 이상 소음 발생 여부와 함께 배터리 각각의 전해액 양이 규정 범위내(상한 레벨, 하한 레벨)에 있는지 점검합니다.
|
![]()
08.
저속 및 가속 상태 모터사이클 운행시에는 일단 저속상태로 주행하며 평소 주행시의 이상 여부를 점검합니다.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가속하여 부드러운 가속상태 및 이상 소음 발생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
![]()
09.
체인의 느슨함 및 팽팽함(Tension) 전, 후 스프로킷 사이의 중앙 부분을 손으로 위, 아래로 움직여 체인의 인장 상태를 점검합니다. 체인은 일정한 자유 유격의 유지와 함께 지속적인 윤활이 필요합니다. 체인의 윤활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경우에 따라 윤활하여 주십시오. |
![]()
10.
운행에 있어 이상이 느껴지는 부분 모터사이클은 매우 많은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필요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습니다. 운행에 있어 평소와 다른 이상이 느껴진다면 반드시 운행을 멈추고 각 구성품의 이상 여부를 유관 점검합니다. 이 때 충분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